아이가 태어나면 기쁨도 크지만, 동시에 육아와 경제적인 부담도 함께 찾아옵니다.
이런 부담을 조금이나마 덜기 위해 정부에서는 ‘부모급여’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요.
그런데 부모급여는 언제까지 받을 수 있을까요?
2025년 기준, 지급 연령과 조건을 한 번에 정리해 드립니다!
✅ 부모급여란?
부모급여는 만 0세~1세 아동을 가정에서 직접 돌보는 부모에게 지급되는 현금성 복지 제도입니다.
2022년부터 도입되었고, 매년 조금씩 금액과 조건이 조정되고 있어요.
💰 2025년 부모급여 지급액
아동 연령 | 월 지급액 |
만 0세 (가정 양육) | 월 100만 원 |
만 1세 (가정 양육) | 월 50만 원 |
※ 어린이집 등 보육시설 이용 시 보육료로 대체 지급됩니다.
📅 부모급여 언제까지 받을 수 있나요?
부모급여는 출생일 기준으로 지급되며, 생후 24개월까지 지급되지 않습니다.
👉 정확한 기준은?
- 만 0세: 출생일로부터 12개월까지
- 만 1세: 생후 13개월부터 24개월까지가 아니라, 12개월 도달 시까지만
즉, 만 1세 생일이 지나면 지급은 종료됩니다.
🔸 예시:
2023년 6월생 아동 → 2024년 6월까지 만 0세 부모급여 →
2025년 6월 생일까지 만 1세 부모급여 지급 가능 → 그 이후엔 종료
⚠ 부모급여 중단될 수 있는 경우
- 어린이집 등 보육시설 이용 시 → 현금이 아닌 보육료 지원으로 전환됨
- 주소지 변경/신청 누락 등 → 지급 지연 또는 중단될 수 있음
- 소득과는 무관하지만 지급 기준일 초과 시 자동 종료
📝 부모급여 신청 방법
- 복지로 웹사이트/앱에서 신청
- 또는 주소지 관할 읍·면·동 주민센터 방문 접수
※ 출생신고 후 빠르게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!
❓ 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어린이집 다니면 부모급여 못 받나요?
A. 네. 어린이집 이용 시 보육료로 지급되며, 현금은 받지 않습니다.
Q. 부모급여는 소득 상관없이 받을 수 있나요?
A. 네. 소득·재산 무관 전 계층 대상입니다.
Q. 맞벌이도 받을 수 있나요?
A. 맞벌이여도 가정양육 중이라면 지급 대상입니다.
✅ 마무리: 언제까지 받을 수 있는지 꼭 체크하세요!
부모급여는 큰 도움이 되는 제도지만, 언제까지 받을 수 있는지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.
출생일을 기준으로 생후 만 1세까지만 지급되므로, 지급 종료 시점과 어린이집 이용 여부도 함께 고려하세요.
정부 복지 제도는 해마다 조금씩 바뀔 수 있기 때문에, 최신 정보를 자주 확인하는 습관도 중요합니다.
'육아 & 가족 생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챗GPT로 사주 본다 사용법부터 주의할 점까지 총정리! (0) | 2025.06.15 |
---|---|
2025년 태풍 전망 총정리! 예측 경로·시기·대비 방법까지 (0) | 2025.06.14 |
2025년 장마기간은 언제 지역별 일정 & 꿀팁 총정리! (0) | 2025.06.13 |
2025 가정양육수당 완전정리! 지급 금액부터 신청 방법까지 한눈에 보기 (0) | 2025.06.09 |
언어치료바우처, 누구나 받을 수 있을까? 신청방법부터 지원금액까지 총정리! (0) | 2025.06.04 |
“우리 아이 말이 느려요” 언어치료가 필요한 신호 5가지와 집에서 할 수 있는 방법 (0) | 2025.06.04 |
스텐연마제제거 안 하면 큰일? 새 스테인리스 제품 안전하게 쓰는 법 (0) | 2025.05.28 |
텀블러 세척법 – 냄새 없이 깨끗하게 만드는 꿀팁 (0) | 2025.05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