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재테크 & 금융

퇴직연금 수령방법,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?

by 感Holic 2025. 5. 8.
반응형

직장생활을 오래 해온 분들이라면 ‘퇴직연금’이라는 단어,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거예요.
하지만 정작 퇴직할 시점이 다가오면 ‘어떻게 받는 건지’, ‘어떤 방식이 더 유리한지’ 막막하다는 분들이 많습니다.

오늘은 퇴직연금의 수령방법에 대해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.
막연했던 퇴직연금, 이 글 보시면 감 잡으실 겁니다!

 

퇴직연금 수령방법,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

퇴직연금, 일단 종류부터 정리할게요

퇴직연금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뉘어요.

  1. DB형 (확정급여형)
    • 회사가 퇴직금을 운용하고, 정해진 기준에 따라 퇴직 시 확정된 금액을 지급해요.
    • 회사가 운용 책임을 지기 때문에 근속연수와 평균임금이 중요합니다.
  2. DC형 (확정기여형)
    • 회사가 일정 금액을 매년 근로자에게 납입하고, 직원이 직접 운용해요.
    • 수익률에 따라 퇴직금이 달라질 수 있죠.
  3. IRP (개인형 퇴직연금)
    • 개인이 직접 가입해 운용하는 방식으로, DC나 DB형 퇴직금을 이관하거나 자율적으로 추가 납입도 가능해요.
    • 요즘은 세액공제 혜택 때문에 직장인 필수 재테크로도 꼽힙니다.

 

 

퇴직연금, 어떻게 수령할 수 있을까요?

퇴직연금 수령 방법은 크게 일시금 수령연금 수령 두 가지로 나뉩니다.

1. 일시금 수령

  • 퇴직 후 한 번에 목돈으로 받는 방법입니다.
  • 단기적으로 목돈이 필요할 때 유용하지만, 세금 부담이 커질 수 있어요.

2. 연금 수령

  • IRP 계좌로 이체한 뒤, 일정 나이가 되면 매달 조금씩 연금 형태로 받는 방식이에요.
  • 장점은 뭐니 뭐니 해도 세금 혜택!
    • 55세 이상부터 최소 5년 이상 나눠 받으면 퇴직소득세가 30~40% 감면됩니다.

 

 

어떤 방식이 유리할까요?

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.
하지만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세금 절감 측면에서 ‘연금 수령’을 추천해요.

✔️ 목돈이 급하지 않다면 IRP 계좌로 옮긴 뒤 연금으로 수령하는 게 유리
✔️ 퇴직 후 일정한 현금 흐름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

예를 들어, 5천만 원 퇴직금을 IRP에 이체하고 10년에 걸쳐 연금으로 받으면
세금 부담이 훨씬 줄어들고, 필요시 운용 수익도 챙길 수 있어요.

 

 

퇴직 후 IRP로 옮기는 방법은?

  1. 퇴직 시 회사에 IRP 계좌로 이체 신청
  2. 기존 은행/증권사에서 IRP 개설 후 계좌 정보 제출
  3. 이체 후 바로 운용 가능 (펀드, 예금, 채권 등 다양하게 선택 가능)

💡 주의: 퇴직 후 60일 이내에 이체하지 않으면 퇴직소득세 원천징수 당할 수 있어요!

 

 

마무리하며

퇴직연금은 잘 활용하면 세금을 아끼고, 노후자금도 안정적으로 마련할 수 있는 훌륭한 자산입니다.
막연히 “퇴직금 받으면 뭐 하지?”보다는
지금부터라도 IRP 활용법과 연금 수령 전략을 조금씩 알아두시는 걸 추천드려요.

퇴직은 언젠가 다가오지만, 준비는 미리 할수록 유리하니까요 :)

반응형